본문 바로가기

마케팅스토리

제품수명주기관리에 대해서

반응형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품은 정말 많죠.

 

매년, 매월, 매일, 수많은 제품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이 모든 상품들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기가 힘들죠.

이러한 신제품들이 출시가 될때 소비자에게 긍정적이며, 강력하며, 독특한 감성을 가진 상품으로 출시와 시기, 상황등에 의해 제품이 출시가 된다. 

 

여러분들은 신제품 구매를 망설임 없이 구매를 하시는 분인가요?

상품 후기 등을 꼼꼼히 보면서 상품을 구매를 하시는 분인가요?

 

이러한 과정에서 제품 수명주기 관리에 대한 이론이 형성이 되었는 것 같습니다.

제품 수명주기 관리는 크게 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를 거치는 과정을 의미를 합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처음 상품을 출시를 할때 바로 도입기에 들어 가죠.

이때 기업의 입장에서는 신제품 출시 기준에 따라 고비용, 저비용, 신제품, 재포지셔닝 등 다양한 형태로 상품이 출시가 되죠. 이때 기업의 입장에서는 출시한 제품 도입기 부분에서는 구전효과, 바이럴 마케팅 효과로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구매 후기를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로 합니다. 

 

온라인에서 판매를 하시는 분들을 보면 아직도 신제품을 마켓에 등록을 하면 제품이 팔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브랜딩이 잘되어진 마켓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일어 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상품 등록만으로 제품이 판매로 이어지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1) 도입기

도입기에서 기업은 구전 효과를 통한 마케팅전략과 구매자 입장에서는 신제품에 대한 긍정적이며, 강력하며, 독특한 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인식이 된다면 혁신구매층에서 구매가 이루어지며, 이 혁신구매증에서 의견선도자 사이에서 구전마케팅 효과로 잠재 구매자 분들에게 전달이 되는 형태로 도입기에서 기업과 구매자 사이의 전략이 필요하다. 

 

2) 성장기

도입기를 거쳐 성장기에 들어서면서 제품 판매가 함께 성장을 하는 시기 입니다. 

의견선도사를 통한 구전효과 즉 상품에 대한 후기를 보면서 잠재 구매자 분들이 구매를 하는 시기에 접어 드는 시기 입니다. 이때 필요한 전략은 제품전략과, 가격전략, 광고 및 판매촉진전략, 유통경로전략으로 나뉘어 진다.

 

- 제품전략: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속성 및 경쟁제품 및 경쟁업체에 대한 대등을 필요한 시점이다.  제품에 대해서 새로운 표적시장을 개발과 고객층 범위를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 즉 경쟁제품에 대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 가격전략: 도입기를 거쳐 성장기에서는 급속하게 확대되는 시장내에서 시장점유를 높이기 위해서 가격전략이 중요하다.  이는 경쟁제품의 저가격으로 시장에 진입을 위한 방어전략과, 기존 제품에 대한 인지도 향상을 위한 가격 전략이 필요하다. 

 

- 광고 및 판매촉진전략: 신제품을 인지시키기 위한 정보제공형 광고로 부터 제품선호형 광고로 전환이 필요하다. 판매촉진비용을 통한 시장의 안정화 단계 전략으로 제품 선호형으로 유사한 제품내에서 경쟁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유통경로전략: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이 될 수 있지만, 오프라인의 경우는 점포수에 대한 확대 전략과 온라인의 경우는 마켓의 확장으로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3) 성숙기

제품의 매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둔화되기 시작하는 지점이다. 이 단계에서는 판매량의 절대적 크기는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감소하며, 가장 높은 매출을 실현하게 되는 구간이다.  경쟁기업 및 경쟁제품들은 가격인하 전략과 광고와 판촉비용이 증가를 하는 시기이다. 어떻게 보면 제품수명주기 단계에서 가장 중요하며 기업의 방향 설정에서 또한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한다. 제품에 대한 재포지셔닝 전략 혹은 시장에서 제품은 도태되는 상품도 이 단계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 가장 높은 마케팅 비용으로 도입기에 진입한 기업과의 가격, 제품, 경쟁력등에 의한 차별화 전략으로 기존 제품에 대한 위기를 맞을 수 있는 단계이다.  이때 기존 기업의 입장에서는 시장개발, 제품개선, 마케팅믹스의 수정 보완이 필요한 단계이다. 

 

4) 쇠퇴기

다수의 상품은 성숙기를 거져 절대적으로 판매량이 감소하는 쇠퇴기에 접어든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계절적 상품이 대표적으로 해당이 된다. 

갑작스런 날씨의 영향에 따라 상품 판매 속도가 급속하게 떨어지는 시기이며, 주로 대체제의 출현, 사회적 가치의 변화, 고객욕구의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거시적 문제와 미시적 문제 사이에서 제품은 시장에서 쇠퇴기를 거쳐 철수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체제의 출현 즉 경쟁기업 및 경쟁 브랜드의 신제품 도입기에 해당하는 상품의 출현과 가격, 마케팅, 판매촉진등으로 기존제품에 대한 가치의 변화로 기존 기업에서는 성숙기에서 시장개발, 제품개선, 마케팅믹스의 보완으로 쇠퇴기 시장에서 재포지셔닝 전략으로 이어지는 기업도 있다. 

혹은 쇠퇴기에서 유지, 수확, 철수전략 중 하나의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의식적으로 상품을 구매를 하게 된다. 

제품에 수명주기가 이러한 형태로 존재를 한다. 

기업은 고객과 상호보완적인 존재가 필요하며, 고객의 변화, 욕구, 가치에 대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사회환경에서 제품 출시와 동시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시대가 아닌 시대이다. 

제품에 대한 제품 수명주기 관리가 필요한 이유이다.

 

오늘은 제품수명주기에 대해서 간략히 적어봤다. 

제품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더 느낀다. 

 

 

 

 

 

 

 

 

반응형

'마케팅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태도변화 이론  (0) 2021.08.13
중소기업 포지셔닝 전략  (0) 2021.08.11
기업목표설정 에 대해서  (0) 2021.08.04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믹스  (0) 2021.08.03
귀인이론에 대해서  (0) 2021.08.02